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은 베트남 호치민 시와 투저우못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북한이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도핑 스캔들로 출전이 금지된 가운데, 8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를 거쳐 우승팀을 가렸다. 일본이 결승에서 호주를 꺾고 우승했으며, 중국이 3위, 대한민국이 4위를 차지했다. 상위 5개 팀은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은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중국, 대한민국을 제외한 16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통해 요르단, 태국, 베트남, 미얀마가 본선에 진출했다. -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은 해당 대회에 참가한 각 팀의 선수 명단을 담고 있는 문서이나, 현재 일부 참가팀(A조, B조 일부,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베트남, 요르단, 중국, 대한민국, 태국, 미얀마)의 선수 명단 정보가 부족합니다. - 2014년 베트남 - 2014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2014년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AFF 스즈키컵)는 싱가포르와 베트남 공동 개최로 태국이 우승, 차나팁 송크라신이 최우수 선수, 모흐드 사피크 라힘이 득점왕, 베트남이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으나, 경기장 잔디 문제, 팬 난동 및 살해 협박 등의 논란이 있었다. - 2014년 베트남 - 태풍 갈매기 (2014년)
태풍 갈매기 (2014년)는 2014년 9월 팔라우 북동쪽에서 발생하여 필리핀, 중국, 베트남, 인도를 거쳐 소멸했으며, 각 지역에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14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14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나미비아에서 개최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우승을 차지하고 카메룬, 코트디부아르와 함께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진출했다.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14년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2014년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는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2015년 팬아메리카 게임,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의 남미 지역 예선을 겸하여 2014년 9월 에콰도르에서 개최된 CONMEBOL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대회로, 브라질과 콜롬비아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콜롬비아가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으며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 아르헨티나가 팬아메리카 게임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C 여자 아시안컵 |
개최 연도 | 2014년 |
개최 기간 | 5월 14일 – 5월 25일 |
개최국 | 베트남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1 |
경기장 수 | 2 |
개최 도시 수 | 2 |
결과 | |
우승 횟수 | 1 |
통계 | |
총 경기 수 | 17 |
총 득점 수 | 67 |
총 관중 수 | 45250 |
득점왕 | 양리 박은선 |
득점왕 득점 수 | 6골 |
최우수 선수 | 미야마 아야 |
대회 역사 | |
이전 대회 | 2010년 |
다음 대회 | 2018년 |
2. 참가 팀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도핑 스캔들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출전이 금지되었다.[2]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상위 4개 팀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나머지 4개 팀은 예선을 통해 결정되었다.[5]
참가국 | 예선 | 참가 횟수 |
---|---|---|
오스트레일리아 | 지난 대회 우승으로 면제 | 4회 연속 6번째 참가 |
일본 | 지난 대회 3위로 면제 | 13회 연속 15번째 참가 |
중국 | 지난 대회 4위로 면제 | 13회 연속 13번째 참가 |
대한민국 | 지난 대회 5위로 면제 | 11회 연속 11번째 참가 |
요르단 | A조 1위 | 첫 참가 |
태국 | B조 1위 | 7회 연속 15번째 참가 |
베트남 | C조 1위 | 7회 연속 7번째 참가 |
미얀마 | D조 1위 | 2회 연속 4번째 참가 |
투저우못에 위치한 고더우 경기장은 18,25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013년 11월 29일에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6][7] 8개 팀은 4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준결승에 진출했고, 각 조 3위 팀은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권을 놓고 5·6위전을 펼쳤다.[6][7]
3. 경기장
호찌민 시에 위치한 통녓 경기장은 1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4. 조별 리그
조별 리그에서 승점이 같은 팀의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었다:[8]
# 해당 팀 간의 승점
# 해당 팀 간의 골득실
# 해당 팀 간의 득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득점
# 승부차기 (최종 경기에서 두 팀만 위의 모든 조건에서 동점인 경우)
# 옐로 카드와 레드 카드 점수 (옐로 카드 1점, 레드 카드 3점, 옐로 카드 후 직접적인 레드 카드 4점)
# 추첨
경기 시간은 모두 현지 시간(UTC+7) 기준이다.
A조에서는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가, B조에서는 대한민국과 중국이 각각 승점 7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조 1위가 결정되었다. A조 3위 베트남과 B조 3위 태국은 5·6위전을 치렀다.
4. 1. A조
- 2014년 5월 14일:
- * 베트남 3 - 1 요르단
- * 오스트레일리아 2 - 2 일본
- 2014년 5월 16일:
- * 요르단 1 - 3 오스트레일리아
- * 일본 4 - 0 베트남
- 2014년 5월 18일:
- * 베트남 0 - 2 오스트레일리아
- * 일본 7 - 0 요르단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가 승점 7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일본이 조 1위를 차지했다.[12] 베트남은 3위로 5·6위전에 진출했고, 요르단은 3패로 탈락했다.
4. 2. B조
- ---
- 2014년 5월 15일:
- * 대한민국 12 – 0 미얀마 (통녓 경기장, 호찌민시)
- * 중국 7 – 0 태국 (통녓 경기장, 호찌민시)
- 2014년 5월 17일:
- * 미얀마 0 – 3 중국 (통녓 경기장, 호찌민시)
- * 태국 0 – 4 대한민국 (통녓 경기장, 호찌민시)
- 2014년 5월 19일:
- * 대한민국 0 – 0 중국 (통녓 경기장, 호찌민시)
- * 태국 2 – 1 미얀마 (고더우 경기장, 투저우못)
- ---
대한민국과 중국은 승점 7점으로 동률을 이뤘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대한민국이 조 1위를 차지했다. 태국은 3위로 5·6위전에 진출했다. 미얀마는 3패로 탈락했다.
5.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5·6위전을 포함하여 필요할 경우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8]
준결승전 (5월 22일, 호치민) | 결승전 (5월 25일, 호치민) | 3·4위전 (5월 25일, 호치민) |
---|---|---|
일본 2 - 1 중국 (aet) | 일본 1 - 0 오스트레일리아 | 중국 2 - 1 대한민국 |
대한민국 1 - 2 오스트레일리아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7) 기준이다.
5. 1. 5·6위전
2014년 5월 21일 호찌민시의 통녓 경기장에서 열린 베트남과 태국의 5·6위전 경기에서 태국이 2-1로 승리하였다. 태국의 칸자나는 , 두 골을 넣으며 활약했고, 베트남은 응우옌 티 투옛 중이 한 골을 만회했다. 이 경기에서 승리한 태국은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1]경기 정보 | 경기 결과 | 득점 선수 |
---|---|---|
1 - 2 |
5. 2. 준결승전
2014년 5월 22일 호찌민시의 통녓 경기장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일본과 중국의 경기에서는 사와 호마레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리둥나가 페널티킥으로 동점골을 만들어 연장전으로 이어졌다. 연장전에서 이와시미즈 아즈사가 결승골을 넣어 일본이 2-1로 승리했다.[1]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에서는 고리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박은선이 페널티킥으로 동점골을 넣었다. 이후 켈론드-나이트가 결승골을 넣어 오스트레일리아가 2-1로 승리했다.[2]
경기 | 결과 | 비고 |
---|---|---|
vs | 2 – 1 | 연장전 |
vs | 1 – 2 |
5. 3. 3·4위전
2014년 5월 25일 호찌민시의 통녓 경기장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중국이 대한민국을 2-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3]
이 경기에서 일본의 야마기시 사치코가 주심을 맡았으며, 5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3]
5. 4. 결승전
2014년 5월 25일 호찌민시의 통녓 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결승전에서 일본이 오스트레일리아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이와시미즈 아즈사가 결승골을 기록했다.[1] 관중 수는 10,000명이었으며, 주심은 중국의 친 량이 맡았다.[1]6. 최종 순위
2014년 AFC 여자 아시안컵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1]
- 상위 5개 팀은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7. 수상
양리 (6득점)